우선 요관이란 신장에서 방광으로 연결된 도관입니다. SUB 기구는 요관이 막힌 경우 신장과 방광을 우회적으로 연결하여 요의 흐름을 유지합니다. 일반적으로 요관의 폐색(막힘)은 요관 결석, 외상, 종양, 염증, 요관 수술 이후에 발생한다. 개의 경우 보다 고양이에서 요관폐색(막힘)이 자주 발생한다. SUB기구는 개복수술을 통해 투시기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장착할 수 있습니다.
SUB 기구는 막힌 요관의 우회로를 통해 요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개선 시킵니다. 두개의 튜브로 구성되어 중간에 포트에 의해 연결됩니다. 하나의 튜브는 신장에 다른 하나는 방광에 연결합니다. 중간의 포트는 피부 바로 아래 위치하며, 장착 이후에 포트를 통해 쉽게 요를 채취하여 모니터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Stent(pig tail)는 요관 내에 장착되어 신장에서 방광으로 수동적으로 요가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Stent는 한번 장착되면 염증물 등에 의해 막히는 증상을 해결할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stent는 요관 폐색의 치료 성공률이 낮습니다. 하지만 SUB 기구는 튜브 중간에 포트를 통해 능동적으로 막힘 증상을 해결 할 수 있다. 과거의 Stent 보다 SUB 기구 장착을 통해 요관 폐색의 치료 성공률을 대폭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질환은 요관 결석입니다. 요관의 결석을 요관 절개로 수술한 이후 많은 경우에 수술부위 협착으로 폐색이 해결되지 않습니다. 또한 이전의 stent를 사용한 요관 수술 이후 막힘이 있는 경우 효과적인 수술법입니다. 요관이 막힌 경우 신장의 비가역적인 손상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요관이 막히고 1주일이 지나면 신장의 35% 기능 소실이 발생하며, 2주가 지나면 54%의 신장기능이 소실된다. 따라서 폐색이 확인된 경후 빠르게 수술을 해야 됩니다.
전통적인 수술법(요관 절개술, 요관 stent, 요관 방광 연결술 등)에 비해 합병증이 적고, 수술시간이 짧다. 결국 환자와 신장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입니다.
한번 장착하면 영구적입니다.
합병증이 전통적인 수술법보다는 훨씬 적으나 없지는 않습니다. 여러 원인(튜브의 분리, 폐색, 요관 감염등)에 의해 요의 누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